본문 바로가기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나의 미래를 바꿔줄 황금알을 낳는 거위 7탄_삼성전자 (part 2)

by LEO 아빠 2022. 9. 13.
앞선 삼성전자 포스팅 part1에서는..
 

나의 미래를 바꿔줄 황금알을 낳는 거위 7탄_삼성전자 (part 1)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른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들보다는 조금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합니다! 저는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이유가 개미 투자자인 제가 시장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초 장

leo-papa.tistory.com

시장 흐름과 삼성전자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반도체, 모바일, HARMAN 등에 대해 방향성을 선정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에서 거시적인 관점으로 숲을 보았다면

세부적인 관점으로 삼성전자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가 낳아줄

첫번째 황금알!

반도체 입니다.

# 세계 1위 메모리 반도체

# 누가 이겨도 수혜보는! 성장하는 파운드리 산업

# 시스템 반도체를 향한 공격적인 투자!

 

앞선 part1에서는

1) 반도체는 일정 패턴으로 사이클이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슈퍼사이클을 준비하자

2) Dram과 낸드플레시에 특화된 현 상황 속

삼성의 돌파전략은?

-> 파운드리와 메모리 반도체

 

위 내용에 대하여 나름의 수치적 분석을 통해 가정을 세우고

논리를 만들어 정리해보았는데요!

해당내용들을 기반으로 향후 방향성을 분석/예측 해보겠습니다.

 

먼저 반도체란 무었일까요?

아래 삼성 반도체 뉴스룸에서 퍼온글을 통해 자세히 보시길 바랍니다 :)

 

[반도체 쉽게 알기 #1] 반도체란 무엇일까요? – 삼성 반도체 뉴스룸

반 + 도체 =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성질 우리는 보통 일상생활에서 '전기가 통한다. 혹은 전기가 안 통한다.'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전류가 흐른다. 흐르지 않는다.'라 말

www.samsungsemiconstory.com

반도체 (Semi + Conductor] :

도체와 부도체 두가지 성격을 갖고있기 때문에 전도여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님

반도체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다양한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반도체를 4차산업혁명 미래의 '석유' 라고 하는데요!

반도체 개념으로 들어가면 너무 복잡해지고 어려우니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반도체의 종류는?

반도체는 위와같이 크게 메모리/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로 구분되며

삼성전자의 주력 분야인 메모리 반도체 (Dram, 낸드플레시) 보다는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CPU,GPU,차량용반도체 등) 시장이 훨신 큽니다.

 

 

반도체 시장규모

(출처 : WSTS (2020.12), IC Insights 및 수출입 은행

 

2020 & 2021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 순위

작년 삼성전자는 인텔을 제치고 전세계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액 1위를 차지했는데요!

 

여기서의 주안점은 2가지 입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액을 보면

메모리 약 75% / 파운드리 약 25%인데요!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레시) + 파운드리 매출액만으로 1위를 했다니..

놀랍지 않나요?

그렇다면 삼성전자 반도체의 방향성은 2가지로 요약할 수 잇습니다!

 

1.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투자!

1삼성전자가 만약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시장에 진출한다면..

성장성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겠죠?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투자액 171조원으로 확대…‘K-반도체 벨트 구축’ 박차 -

[미디어SR 김다정 기자]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삼성전자는 13일 평택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벨트 전략 보고대회’에서 향후 2030년까지 시

www.dailyimpact.co.kr

 

2. 파운드리 매출액 증가!

파운드리 경쟁력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바로!, 더 작고 더 성능좋은 칩을 만드는 것입니다.

바로 미세공정 기술력 입니다.!

 

3나노 공정에 이은 2나노 공정.. 들어보셨을 겁니다. 말그대로 치킨게임이죠 ㅠㅠ?

삼성전자는 21년 연구개발 비용으로 약 22조원을 투입하였는데요!

TSMC는 60조라니.. 후덜덜 합니다

 

파운드리 최강자 TSMC, 설비투자 60兆 쏟아부어 삼성 추격 따돌린다

파운드리 최강자 TSMC, 설비투자 60兆 쏟아부어 삼성 추격 따돌린다 TSMC, 올해 2나노 공정 개발에 48조원 투자 삼성은 16조원, 파운드리만 놓고 보면 4배 차이 2025년 공정 양산 목표, 삼성 추격에 기

biz.chosun.com

 

1년에 설비투자로 60조라니..

그정도로 가치가 있을까요..?

설비투자를 진행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생산 원가를 낮추어 마진을 증가시키기 위함 -> 이익 증가

2) 미세공정을 통해 더 작고 성능좋은 반도체 제작 -> 주문 증가

 

실제 21년도 삼성전자가 매출액 1위를 기록하였지만

영업이익에 있어서는 TSMC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21년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 31% / TSMC 41%)

설비투자로 10%의 영업이익차이만 난다해도

금방 투자비용은 회수 가능 할 것입니다.

 

파운드리가 뭐지!?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아래 반도체 생태계를 간략히 설명드리고 넘어가겠습니다.

 

반도체 생태계는?

반도체는 크게 설계(팹리스)/파운드리(생산)/ 설계+생산 종합(IBM)

와같이 나뉘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애플, 엔비디아, AMD, 퀄컴 등 굴지의 반도체 기업들은

설계(팹리스) 만 하는걸까요?!

 

아래 유명한 이미지는 한번쯤은 보셨을 겁니다.

 

이재용, 반도체 장비 확보전… '슈퍼을' ASML 경영진 만났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14일(현지시각)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에 위치한 ASML 본사를 방문해 피터 베닝크(Peter Wennink) CEO,..

it.chosun.com

 

삼성전자, TSMC는 물론 중국에서 까지

반도체를 생산에 있어 필수기술력인 노광장비 독점 업체인

ASML에 장비를 공급받고자 혈안인 모습인데요

심지어 미국은 중국 견제를 위해 ASML에 중국 대상 반도체 장비를 팔지 못하게 규제까지 하는 모습입니다..ㅎㅎ

 

 

"중국에 반도체 장비 팔지마"…'대체불가' ASML 압박하는 미국

"중국에 반도체 장비 팔지마"…'대체불가' ASML 압박하는 미국, 허세민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1대에 2천억 ~ 5천억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전해질정도로 고가라

왠만한 후발주자들은 생산 생태계에 진입하기 어렵습니다.

어설프게 장비를 들여놨다가.. 치킨게임에서 지게되면

손실이 막대하겠죠?

 

그렇기 때문에 반도체 생태계는 예전부터

설계/생산/장비제공/소재제공 등 분업화가 이루어진 모습입니다.

 

하지만 설계/생산(파운드리) 둘다 하는

괴물같은 기업이 삼성이라는거 아시나요?

크게 설계(팹리스) / 생산(파운드리) / 종합(설계+생산)

3가지 분류로 점유율 순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결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위 도표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삼성은 아래와 같은 타이틀을 갖고있으며

# 전세계 반도체 매출액 1위!

# 파운드리 업체 매출액 2위!

# 종합반도체 업체 매출액 1위!

 

부족한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분야

까지 세계 1위의 공격적인 목표로 나아가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1등 기업입니다.

 

여기까지 반도체정리를 마치고 아래서는

모바일/ HARMAN / 사물인터넷 / 로봇 등

삼성이 그리고 있는 미래에 대해서 간략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가 낳아줄

두번째 황금알!

갤럭시 노트에 이은 두번째 혁신!

폴더블폰 & 웨어러블 기기

 

삼성전자의 모바일/웨어러블 기기가 포함된

MX/네트워크 부문은 아래 두가지 사유로 지지부진한 매출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1) 프리미엄 애플 / 중저가 중국

2) 스마트폰 매출비중의 15%정돌르 차지하던 중국시장 점유율 급감

 

하지만, 삼성은 국내 대표 기업인만큼!

갤럭시 노트 이후 또한번의 혁신을 내놓습니다.

바로 요즘 HOT 한 '폴더블폰' 입니다!

 

보시는 이미지처럼 삼성은 꾸준한 혁신을 이룩하여

시장 트랜드를 이끄는 기업인데요!

1세대 : 갤럭시S -> 2세대 : 엣지 & 노트 -> 3세대 : Full Screen -> 4세대 : 폴더블

(출처 :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2018/09/16/industry/NEWS-ANALYSIS-Is-it-time-for-Samsungs-foldable-phone/3053255.html)

전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 기업인만큼

향후 폴더블폰으로 또한번의 혁신을 보여주리라 기대 됩니다.

 

위에 반도체 내용중 삼성이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에 공격적 투자를 하고 있는 내용을 말씀드렸는데요!

 

모바일 매출비중이 35%로 1등이지만

영업이익률은 9% 로 저조한 이유!

 

바로 날이갈 수록 높아지는 AP 반도체 비용 이슈입니다.

향후 폴더블폰으로 급부상한 모바일 분야 매출액에

AP반도체로 100% 대체하여 영업이익 까지 올라간다면

큰 기대를 걸어볼만 할듯 합니다 :)

 

웨어러블 기기 또한

스마트폰 다음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만큼

삼성의 점유율또한 점진적 상승 추세입니다.

(21년 7.8% -> 22년 10.1%)

(출처 : https://www.counterpointresearch.com/smartwatch-market-grows-13-yoy-q1-2022-apple-stays-first-samsung-solidifies-second-place/)

 

마지막 황금알!

비스포크 가전 사업부와 결합한 사물인터넷 / HARMAN / 로봇 등

신규 먹거리

 

삼성의 기존 주력 사업부였던 가전은

LG에 밀려 만년 2위 타이틀을 갖고있지만

최근 비스포크 출시로 젊은 층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매출 성장세에 접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비스포크는 단순히 디자인만 신경쓴게 아닙니다!

향후 미래에는 AI가 우리의 삶 깊숙히 침투할텐데요

사물인터넷 / 생필품구매 / 자율주행 / AI 비서 등

 

삼성전자는 비스포크를 필두로

전장사업 진출을 위해 인수한 HARMAN의 성장

로봇산업 투자 등

여러 혁신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냉장고와 IoT·AI의 만남' 삼성 비스포크 패밀리허브 출시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기반 패밀리허브 기술을 적용한 비스포크 냉장고를 21일 출시한다고 밝혔다.패밀리허브는 2016년..

it.chosun.com

 

 

하만 M&A 5년 만에 빛 본다…삼성전자, 가전부터 전장까지 시너지 | 아주경제

삼성전자가 전장·오디오 전문기업 하만 인터내셔널을 인수한 지 약 5년 만에 본격 성장궤도에 진입했다. 가전제품은 물론 전장 사업까지 향후 양사 간 보다 큰 시너지를 낸...

www.ajunews.com

 

출시 앞둔 '삼성 로봇'…기대 부푼 협력사 - 머니투데이

"240조 투자" 미래 먹을거리 점찍은 착용형 주행보조 로봇출시 발 맞춰 국내 협력사들 반도체·MLCC 부품양산 준비가격 책정·제품 승인·공급망 관...

news.mt.co.kr

 

여기까지 길고긴 삼성전자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타 기업들과는 달리

반도체 / 가전 / 모바일 / 로봇 등

정말 많은 분야에 폭넓게 뿌리를 뻗고있는 삼성전자!

이정도면 저의 미래를 걸어도 될 듯 합니다 ㅎㅎ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