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친환경 관련 투자 방법 끝판왕! 탄소배출권/태양광/원자력

by LEO 아빠 2022. 9. 15.

안녕하세요 :) 레오아빠 입니다.

올해에는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많이 찾아온 것 같습니다.

 

#따뜻해진 동해바다 #강남 침수 #초대형 태풍 포항 참사 #500년만의 최악의 유럽 가뭄 #미국괴물토네이도 등등..
 

유럽 3분의 2가 가뭄 고통···EU 집행위 “500년 만에 최악”

유럽에서 이상고온으로 극심한 가뭄을 겪는 지역이 3분의 2에 달해 500년 만에 최악 가뭄이라는...

m.khan.co.kr

 

 

미국 6개 주 휩쓴 ‘괴물 토네이도’…“사망자 100명 넘을 듯”

앤드루 베시어 켄터키주지사(민주당)는 11일 기자회견에서 "사망자 수는 최소 70명으로 오늘이 가기 전 100명을 넘길 수 있다"며 "이번 폐해는 주 역사상 최악으로, 내 생전에 처음 겪는 것"이라고

www.joongang.co.kr

 

[속보] 초강력 태풍 ‘힌남노’, 더 가까이온다

힌남노 대만서 북진 시작제주·남해안에 주말까지 많은 비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우리나라와 더 가깝게 통과하는 것으로 경로가 조정됐다. 기상청은 1일 오후 10시 기준 태풍 힌남노의 예상

www.seoul.co.kr

 

올 7월 동해 수온 40년 평균보다 2.7도 높아…사상 최고치

최근 40년 동해 7월 평균 해면수온 변화를 나타냈다. 해양과기원 제공 지난달 동해 평균 해면수온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후예측센터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

m.dongascience.com:443

 

이러한 이상 기후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모두가 아시다시피

탄소배출로 인한 대기온도 상승 입니다.

만약 우리 삶에 법과 규제가 없다면 어떠한 상황이 발생할까요?

 

두 가지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

1) 만약 쓰레기를 버릴때 쓰레기 봉투를 구매해서 담는 법이 없다면..?

2)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이 공짜라면..?

결과는 뻔합니다!

사람들은 길거리에 쓰레기를 무분별하게 버려 길이 더러워 질 것이고

음식이 공짜라면 많은음식을 준비해서 무분별하게 버리는등의 낭비가 심해질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공유지의 비극 ' 이라 정의합니다.

우리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온도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데요!

과학자들의 경고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최근 우리에게까지 다가온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기후위기는 전세계인들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있습니다.

따.라.서!! 석탄발전, 화력발전, 자동차 배출가스 등등..

무분별한 이산화 탄소 배출을 막기위해 체결된 국제협약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는 왜 “탄소중립, 탄소중립” 외칠까?

지난 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청소년들이 이날 영국 글래스고에서 막을 올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때 세계 각국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를 조속히 마련하라는 시

www.korea.kr

 

21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 26) 주요 내용

1. 가장큰 이슈! 7년간 미합의 상태였던 파리협정 6조 이행규칙 국제 탄소시장 관련 지침 타결!

2. 2030년 까지 메탄 배출량 30% 감축! (20년 대비) 100여개 이상 국가 참여!

3. 신규 석탄발전소 중단 및 석탄발전 점진적 폐지!

4.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중국, 미국 기후행동 공동 선언

서론이 길었습니다! 전세계적 방향성의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21년 유엔 기후협약에 따른 시사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미국과 중국의 참여! -> 전 세계적 방향성 확인!

 

2. 기후변화의 핵심인 탄소배출 규제! ->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의 급성장 확신

3. 탄소배출을 안하고 전력을 생산하려면!? -> 친환경 재생에너지 발전 필수 불가결!

 

우리는 이 기회를 놓쳐선 안되며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두가지 포인트로 접근해보겠습니다.

 

첫째! 기후위기의 가장큰 원인인 탄소배출권 규제에 투자하는 방법이 뭘까?

작년부터 해외는물론 국내 여러 증권사에서도 탄소배출권 가격을 추종하는 ETF를 출시하고 있다는걸 알고 계셨나요?

ETF의 장점은, 내가 잘 모르는 분야에 있어 개별종목을 고르기 힘들때 투자회사에서 나 대신 일정량의 수수료를 받고

대신 투자해주는 지수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내돈이 여러주식에 투자되는 펀드와는 다르게, ETF는 믿을 수 있는 증권사에서 만든

투자 보따리(?)중 마음에 드는 보따리를 골라 주식처럼 내가 사고 파는 상품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대표 ETF로는 KODEX 200, QQQ, S&P 500 등이 있죠!

 

1) 탄소배출권 선물 가격 유럽 70.86 > 캘리포니아 27.26

-> 같은 탄소배출권이라도 지역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투자는 어렵습니다.

https://www.theice.com/products/197/EUA-Futures/data?marketId=5474736
https://www.cmegroup.com/markets/energy/emissions/cbl-california-carbon-allowance-vintage-specific-2022.html

 

 

그렇기 때문에 탄소배출권 또한 ETF가 존제하는데요! 

가장 대표 상품은! 2020년 7월 CICC에서 출시한 최초의 탄소배출권 ETF!

 KRBN (KraneShares Global Carbon Strategy ETF) 입니다.

이미 많이 올랐죠..? 출시했을 당시보다, 약 2배 가까이 올랐네요

 

2) 지역별 투자 비중

: 탄소배출권 가격은 규제하는 지역마다 다르며 규제가 강해질수록 올라게 됩니다.
  실제 탄소배출권 가격이 가장 비싼 유럽 55% / 미국 39% 순 입니다.

(출처 : https://kraneshares.com/krbn/)

현재 일시적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떨어진건, 러/우 이슈 및 인플레이션 영향 때문입니다.

천연가스가 부족한 상황에서 탄소배출권 가격까지 오른다면.. 피해가 막심할테니까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기후위기로 인한 탈탄소 정책은 세계의 방향인지라, 지금이 기회라 생각됩니다 :)

 

 

탄소배출 없이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재생에너지중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향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전세계의 탄소배출권 가격이 오르는건 기정사실화 된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KRBN 투자를 통해 탄소배출권 가격에 투자하는 것 말고 또 어떤 투자가 있을까요?

바로! 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대신 에너지를 생산해줄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태양광, 수력, 풍력, 원자력.. 수많은 신재생에너지중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e나라 지표 (제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코트라 미국 재생에너지 시장 및 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를 참조하여 자료를 만들었습니다.

 

1. 글로벌 에너지별 발전량 전망 /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발전량 전망

1) 2050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비율 21% -> 42%

2)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 비중 급증!

3) 풍력의 경우 발전 비중이 크지만 41% -> 34%로 감소될 전망이며
     최대 단점인 설치 공간제약 & 계절적 이슈 (바람) 로 투자는 보류할예정입니다.

(출처 : http://dl.kotra.or.kr/pyxis-api/1/digital-files/1a1a5792-3e48-46b8-8e1f-e57a339f6d27)

상단 이미지 출처 코트라 21년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태양광 투자 기업은 국내기업/해외기업/인프라투자/태양광장비 투자 등

급변하는 투자시장을 추적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따라서 여기에도 ETF투자를 통해 우리 대신 머리좋은 월가를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대표 태양광 ETF (미국) : TAN (Invesco Solar ETF) 

(https://kr.investing.com/etfs/claymore-mac-global-solar-energy-in)
https://www.invesco.com/us/financial-products/etfs/holdings?audienceType=Investor&ticker=TAN

웹사이트에서 세부 구성종목 확인이 가능합니다.

TOP 5 기준으로 많이들어본 퍼스트솔라, 솔라엣지 등이 보이네요 ㅎㅎ

 

그러나! 22년도 최근 지정학적 이슈로 인해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체르노빌 사태 이후 급감한 원전 발전에도 관심이 쏠리는 추세입니다.

간단히 원전또한 대표 ETF 와 구성 포트폴리오 포스팅 하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

대표 원자력 ETF URA(Uranium ETF)

태양광과 마찬가지로, 최근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방향성으로 인해 2020년 대비 약 3배가량 올랐습니다

https://kr.investing.com/etfs/global-x-uranium

ETF 구성종목을 확인해볼까요?

보기만 해도 머리아픕니다.. ㅎㅎ 회사도 있고 원자제도 있고.. 

이게 제가 잘 모르는 분야를 ETF에 투자하는 이유입니다 :)

https://www.globalxetfs.com/funds/ura/

 

오늘도 어쩌다보니 기나긴 포스팅이 됐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욱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뵐게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