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나의 미래를 바꿔줄 황금알을 낳는 거위 7탄_삼성전자 (part 1)

by LEO 아빠 2022. 9. 12.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른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들보다는

조금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합니다!

 

저는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이유가

개미 투자자인 제가 시장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초 장기투자를 하기 위해서 내가 주식을 산 이유를 만들어

그 이유가 없어질때까지 팔지 않기 위함인데요!

 

미국주식이 저의 포트폴리오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이유는

혁신 및 1등기업이 많아서도 있지만

아래 세가지 이유도 큽니다.

 

1. 주주친화적 (배당/자사주 소각 등)

2. 높은 금융투자 이해도 (퇴직연금 등)

3. 투명한 지배구조 (상속 X, 기업분할  X)

 

반대로 생각해보면 한국 주식은.. 대부분의 주식이 3가지 모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오너 리스크(상속을 위한 불법 행위 등), 잦은 기업분할 (LG엔솔 물적분할, 현대중공업 상장 리스크..)

이러한 이유로 기업의 주가에 변수가 많기 떄문에

한국 주식이 미국주식에 비해 가치가 굉장히 절하되어있다는 평가를 많이 받습니다.

(주식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하죠..)

 

그럼에도! 한국은 투자 매력이 굉장히 큰 혁신국가 이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20% 정도의 비중은 국내주식에 투자하려 합니다.

블룸버그 혁신지수 세계 1위
 

한국 '2021년 블룸버그 혁신지수' 세계 1위 | 아주경제

블룸버그가 발표한 ‘2021년 혁신지수’에서 우리나라가 90.49점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우리 정부의 한국판 뉴딜, 미래차·바이오헬...

www.ajunews.com

 

그래서 제가 유일하게 투자하고 있는

국내 대표주식! 삼성전자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

삼성전자가 낳아줄 황금알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보고자 합니다.

이번엔 다른 분석글들의 역순으로 실적으로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실적분석!

1) 국내 1위 시가총액

2022.09.12 기준 국내 시가총액 TOP 10 기업 리스트

삼성전자는 (우선주 포함) 시가총액 총 374.7조원으로

2위~ 10위 시가총액을 모두 합한 것과 유사한 대한민국 압도적 1위 회사 입니다.

이말인 즉슨.. 삼성전자가 흔들리면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흔들린다고 봐도 되곗죠..?

 

Kodex 200 & 삼성전자 5년 주가 추이

실제 KODEX 200지수와 삼성전자 주가 차트가 거의 유사한걸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국내 주식 삼성전자에만 투자하는 이유기도 하구요ㅎㅎ)

 

 

2) 분기별 매출액/영업이익 추이 : 지속 성장하는 혁신 기업!

(출처 : https://www.samsung.com/sec/ir/financial-information/earnings-release/)

 

<분기별 매출액>

아래 두가지 이미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매출액만 보면 꾸준하게 성장하는 것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18년 4분기부터 21년 1분기까지 영업이익이 훅빠지는걸 볼 수 있습니다.

대체 무슨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미지 아래 이어서 간단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분기별 영업이익>

 

3) 반도체 매출 분석

 

분기별 영업이익이 급감했던 이유는 바로 2018년 하반기 ~ 21년 1분기까지의

반도체 최악의 불황 시즌 때문이었습니다.

 

2019년 반도체 시장, 10년래 '최악의 불황' 전망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진의 늪에 빠진 세계 반도체 시장이 올해 초부터 더욱 악화되며 2019년 최악의 불황을 경험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와 우리경제에도 주름살이 깊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산업

m.joseilbo.com

반도체 시장을 포함하여 모든 시장은

주기적으로 사이클을 타게되는데요!

반도체 생태계 또한 아래와 같은 패턴양상을 보입니다.

 

<반도체 사이클>

위와같은 사유로 2017년~2018년 반도체 슈퍼사이클로 인하여

19년~21년 반도체 불황이 찾아왔던 겁니다.

 

하지만 앞으로 찾아올 4차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미래의 석유 라는 반도체 산업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며, 향후 찾아올 슈퍼사이클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길고 큰 사이클이 찾아올거라 생각합니다.

(미리 대비해서 나쁠 거 없겠죠 ㅎㅎ)

 

4) 부문별 매출 분석 : 

삼성전자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스마트폰, 비스코프, 반도체, 파운드리...

한번 부문별 매출비중을 조사해보았습니다!

17년 1분기, 22년 2분기 부문별 매출 비교

-> 22년 2분기 기준으로 5년전과 비교했을때

반도체, Harman 부문의 매출 비중이 크게 상승했고

MX(모바일), SDC(디스플레이) 부문 매출 하락이 눈에 띄게 보입니다.

 

22년 2분기 부문별 영업이익률

-> 매출 비중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모바일(MX) 부문은 영업이익이 굉장히 안좋고

반도체는 영업이익까지 굉장히 좋은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실적 분석을 먼저한 이유가 보이시나요?

네 바로 다양한 사업 분야가 있는

삼성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주력 분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가정을 세우고 세부 분석을 해보도록 하곘습니다.

 

1. 반도체 : 

기존 주력분야였던 메모리 반도체인 DRAM, NAND플레시 치킨게임에서 승리하였으니

향후 비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 쪽으로 추가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2. 모바일 :

중국 점유율 감소 등의 사유로 매출액은 떨어졌지만

아직 매출액 1위 부문으로, 영업이익을 늘릴수만 있다면 추가 성장성이 있지 않을까?

 

3. harman : 전장사업 및 오디오 분야

16년 자회사로 편입 후, 매출 1%대에서 4%대까지 성장

미래 자율주행 시대가 왔을때 빛을 발할 수 있지 않을까?

 

4. 가전은 비스포크로 차별화 성장중으로 향후 사물인터넷시대에

Harman 과 반도체 분야와의 시너지가 기대됨

(비스포크 컨셉 자체가 전체 가전을 기능성뿐만아니라 디자인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

 

5.  SDC(디스플레이) 분야는 매출비중은 유지하며 꾸준한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분야

하지만 반도체와는 달리 이미 포화된 시장으로 점진적 하락 추세로 보임

 

너무 길게가면 지루하니 여기서 한번 끊고 갈게요 :)

 

다음 part2에서는 삼성의 미래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모바일, harman, 사물인터넷 등 에대해

세부적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