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포스팅에서 PER의 개념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2022.12.19 - [유대인식 자녀교육] - 주식 투자 용어 정리 끝판왕! NO.1_PER,PSR,EPS
PER의 경우 기업의 순이익으로 몇년이 지나야 시가총액을 벌 수 있는지
즉, 순이익과 주가의 상관관계로 주가의 저평가 고평가 영역을 확인한다면,
ROE의 경우는 가치투자의 영역에서 실제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최근 왠만한 4대 은행에서 예금금리 4~5%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시중자금이 은행 예금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ROE 또한 은행의 금리와 마찬가지로, 기업의 자본(예금) 대비 수익(금리) 와 유사한 개념으로 작용되어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가치투자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가치투자의 대가 워렌버핏 또한 종목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시 여기는 부분중 하나가 ROE 라고도 합니다.
https://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204
[신간] 워런 버핏의 ROE 활용법... 워런 버핏이 가장 중시하는 투자지표를 다룬 본격 지침서 - 미래
왜 정답을 내버려두고 오답을 찾아 헤매는가? 워런 버핏은 이미 오래 전에 아주 간단한 전략으로 반세기 넘게 놀라운 투자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책은 버핏의 전략을 아주 쉽게 설명한다. 당신
www.futurekorea.co.kr
본격적으로 공부해 보겠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기업이 순수 자본을 이용하여 얼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100
예를들어, 자본총액이 10억원인 회사가, 1억원의 단기순이익을 냈다면?
ROE = 1억 / 10억 x 100% = 10%
즉, ROE란 기업이 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여들였는가를 보여줍니다.
해당 기업의 이자는 10%로 봐도 되겠습니다. (우수한 편이죠)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자기자본이익률)
여기서 워렌버핏이 ROE에 집중하는 이유는 바로
부채로 발생시킨 이익이 아닌, 순수 자기자본으로 발생시킨 이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워렌버핏을 있게하준 코카콜라(KO)의 경우가 대표적 사례입니다.
코카콜라는 이미 시장을 선점하였고, 필수 소비재의 개념이기에 추가적인 설비투자나 새로운 연구개발이 덜 필요합니다.
또한 매년 엄청난 이익이 발생하기에 배당이 몇십년째 성장하는 배당 성장주로, 점차적으로 이익이 쌓이게 됩니다.
그러한 기업이 ROE가 유지되거나 늘어난다는건? 이익이 점진적으로 늘어난다! (성장성)는걸 의미합니다.
ROE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것도 대단하지만, ROE가 성장하는 기업이
왜 대단한지 아래 표에서 간단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기업 , B기업, C기업 모두 2022년 순이익/ROE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1년후 순이익의 변화에 따른 ROE의 변화를 본다면
ROE의 성장 또는 유지가 얼마나 대단한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매년 발생한 순이익은 다음해 자기자본에 들어가 분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어떤 한 기업의 2010~2022년 ROE를 보여줍니다.
2010년 ROE 50가량도 높은데.. 꾸준한 성장과 함께 2022년 160%에 이릅니다.
바로 워렌버핏의 포트폴리오 40% 이상을 차지하는 전 세계 시총 1위 애플(AAPL) 입니다
하지만, ROE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 주식은 아닙니다.
A,B 기업 = 자기자본 5억 / 순이익 1억, 즉 ROE = 20% 같은 조건의 두 기업이라 하더라도
기업의 총 자산(부채+자본)이
A기업 = 50억, B기업 = 10억 이라면
A기업은 45억의 레버리지를 포함하여 1억을 벌었고
B기업은 5억의 레버리지 포함하여 1억을 벌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부동산 등 여러 투자를 함에 있어 레버리지를 중요시 여기는 것 처럼
부채를 이용한 투자 수익률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개념이 바로 ROA (Return On Asset) 입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ROA = 순이익 / 총자산(=부채+자기자본)
즉 부채를 포함한 총 자산 대비 순이익 비율을 나타냄으로서,
기업이 레버리지 또는 투자(설비 등) 를 활용하여
얼마나 잘 성장하는 가를 보여주는 수치 입니다.
즉, 결론은 장기적으로 ROE, ROA가 높은 값이 유지되거나
또는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해야한다는 것 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자료로 찾아뵙겠습니다 :)
'유대인식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용어 정리 끝판왕! NO.1_PER,PSR,EPS (2) | 2022.12.19 |
---|---|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 정리 끝판왕! #시리즈 No.3_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 (0) | 2022.12.16 |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 정리 끝판왕! #시리즈 No.2_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 (0) | 2022.12.15 |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 정리 끝판왕! #시리즈 No.1_소비자물가지수(CPI) (1)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