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경기침체/경제위기 대비 안전자산 추천

by LEO 아빠 2021. 2. 17.

90년대 일본의 거품붕괴로 인한 잃어버린 20년, 미국의 닷컴 버블 등

주식시장이든 부동산 시장이든,

과거 사례가 보여주는 것 처럼, 거품이 쌓이면 언젠가는 터지게 되어있다 합니다.

 

제가 존경하는 세계 3대 투자자 짐로저스는 현재 코로나로 인한

유례없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쌓인 유동성 폭발로 인한 거품이

조만간 꺼질 것 이라 위기에 대비하라 했는데요!

 

짐로저스의 저서 '위기의 시대 돈의미래' 에서는,

직접 금을 사라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금 사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직전 포스팅에 올려드렸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ㅡㅡㅡㅡ

 

오늘은 경제위기/인플레이션/환율/금리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며

경제위기 조짐 발생시 대처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부양책으로

전세계적 동시다발적인 유동성 폭발의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발생이 우려된다면, 금리가 인상되고

이로인해 그간의 유동석 폭발로 쌓인 거품 붕괴의 조짐이라도 보인다면

안전자산인 금/달러/채권 으로의 수요가 몰리는건 경제상식 이라 합니다.

 

그래서 미국 연준이 인플레이션 잡는 배수진이라는

금리인상 카드만 만지작 거려도

환율이 유동치며, 달러가 급등하는 현상을 보이는데요,

쉽게 금리인상은 단행하지 못하는건

금리인상->달러강세->이머징마켓 투자 감소->세계경제 침체->미국 수출 감소

결국 단기적으로는 미국에 유리하나 장기적으로는 부메랑이 되어

자신에게 돌아올걸 걱정하는 겁니다.

 

ㅡㅡㅡㅡ

 

최근 경제위기 발생시 대표적 안전자산인 달러/채권에 수요가 몰려

미국 10년물 장기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인한 환율도 상승추세에 있습니다.

환율이 상승된다면,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기업엔 큰 악제인데요,

그래서 미국 금리인상 카드를 전 세계가 두려워하는 것 이죠.

 

ㅡㅡㅡㅡ

 

더군다나, 조 바이든 후보의 2조달러원대 대규모 경제 부양책이 예고됨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돈을 무한정으로 푼다면, 가치가 낮아지니 자연스레 수요-공급에 의해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실시간, 네이버 빅데이터 분석 결과, 최근 1월~2월 사이

금리인상 키워드 검색어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ㅡㅡㅡㅡ

 

결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세계적 투자 거장 뿐만아닌 많은 전문가들이 말하는

경제위기 시나리오와 리스크 헤지 방법!

 

1. 코로나로 인한 전세계적 대규모 부양정책 (특히 미국)

2. 전세계적 동시다발적 인플레이션 현상 조짐 발생

3. 인플레이션 잡는 유일한 해결책 금리인상 단행

4. 안전자산 (달러/금/채권) 선호 효과!

 

앞선 포스팅에 금 투자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였는데요,

다음포스팅에서는 달러와 채권 투자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