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전세계 커피 매출 1위!_공간을 판매하는 스타벅스(SBUX) 분석 끝판왕

LEO 아빠 2023. 1. 11. 23:56

황금알을 낳아줄 거위 카테고리에는

각 분야별 1등 주식들을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할 회사는

제가 적립식 매수 진행중인 스타벅스_Starbucks(SBUX)입니다 :)

 

왜!? 스타벅스 인가?

첫째, 압도적 브랜드 파워

오늘 강남역에서 미팅이 있는데 잠시 업무가 있다면 어디에 갈까요?

커피한잔 하며 과제 또는 공부를 해야 하는데 어디에 갈까요?

오랜만에 친구들 만나 수다떨고 싶을 때 어디에 갈까요?

출근길 커피 테이크아웃이 필요한데 어디 갈까요?

라는 질문에 ..

아마도 열에 아홉은 '스타벅스 가자!'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실제 국내 브랜드 중 엄청난 성장성을 보여주었던 '이디야 커피'의 전략은 스타벅스 매장 옆에 매장을 두어

스타벅스가 꽉 차 나오는 손님들은 유치하는 전략을 쓰기도 헀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스타벅스가 하나의 브랜드 이자 대명사로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스타벅스가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는?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스타벅스)

  • 로고 속 인어 = 세이렌 여신
    • 천상의 목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서 배를 침몰시키던 여신 = "굉장한 유혹"
    • 사이렌 (세이렌에서 유례) 오더
  • 스타벅스의 어원 
    •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 모비딕 의 선원 '스타벅'에서 유례 
    • 인간의 도전, 고통, 고뇌 -> 현대인의 고통을 치유해 주는 공간
  • 스타벅스 운영 철학
    • 운영 철학 : 고객에게 점차 다가가는 운영 철학 -> 100% 직영매장 운영과 고객의 이름을 직접 불러주는 서비스
      • 로고 위치의 변화 (하단 점차 다가오는 세이렌 여신)
    • 공간 철학 : '우리는 공간을 판다 from 하워드 슐츠' 도심 직장인의 쉼터
      • 도심 속 자연을 추구하는 디자인 (나무) : 자연스럽게 번화가에 들어서 현대인의 힐링 요소라는 브랜딩

 

둘재 꾸준한 성장성
스타벅스는 Coffee 파는 Cafe가 아닌, 문화를 파는 공간이다!
  • 커피의 근본인 원두 맛은 유사하여 진입장벽이 낮은 시장임에도 압도적 글로벌 1위 브랜드로서의 입지로
  • 20년도 코로나 상황을 제외하고 매출 & 이익 꾸준한 우상향 추세!
  • 230111 기준 시총 1216억 $ = 160조 원!
    (국내 2위 LG에너지설루션 시가총액 111조 보다 높은..!)

출처 : https://s22.q4cdn.com/869488222/files/doc_financials/2022/q4/Q4-FY22-Earnings-Release-Final-11.3.2022.pdf

 

셋째 미래 투자가치

1) 드라이브 스루 매장 증가 : 전기차 충전소와의 시너지

  • 향후 스타벅스 신규 매장의 90%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 될 것이며
    이미 글로벌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업체들과 제휴하에 인프라 확장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
 

90% of new Starbucks stores will have drive-thrus

This move is part of a $1 billion investment, which includes tech upgrades such as handheld devices and equipment upgrades to improve efficiency, service and profitability.

www.restaurantdive.com

 

스타벅스도 전기차 충전소 발표...글로벌 전기차 충전소 합종연횡 활발 - IMPACT ON(임팩트온)

전기차 충전시장에 뛰어들겠다고 발표한 스타벅스가 지난 9일(현지시각) 미국 남서부 유타주의 프로보(Provo) 매장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했다고 발표했다. 스타벅스는 볼보자동차와 파트너십

www.impacton.net


2) 중국과 인도 및 인도네시아 등 블루오션 시장으로의 확장

스타벅스의 지역별 매장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단 그래프에서와 같이 압도적 1위인 미국을 제외하면

세계 1,2,3위의 인구 대국인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의 성장을 고려한다면

스타벅스의 향후 매출 상승은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306915/countries-with-the-largest-number-of-starbucks-stores-worldwide/

 

위 자료를 토대로 미국의 현 매장수 15000여 개에 인구수 3.3억을 기준치로 하여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의 향후 성장률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은 압도적인 성장률이 도출됩니다.

구분 인구수(억) 현 매장수 기대 매장수 성장률
미국 3.3  15,873  15,873  0%
중국 14.1  6,019  67,917  1,028%
인도 14.1  300  67,725  22,475%
인도네시아 2.7  523  13,170  2,418%

 

특히!

중국의 연간 인당 커피 소비량은 9잔으로 선진국 대비 굉장히 저조합니다.

출처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21710013720539

 

통상 선진국 반열에 오를수록 커피 소모량이 늘어납니다.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늘어나기에 자연스러운 결과곘죠?

출처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21710013720539

 

그러한 중국시장에 스타벅스는 이미 오래전부터 공격적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단 그래프는 중국 내 스타벅스 매장수 추이로, 공격적인 확장을 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7795/number-of-starbucks-stores-in-china/

 

또한 중국에 이어, 인도에서 또한 공격적인 매장 확장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https://stories.starbucks.com/asia/stories/2022/top-10-things-to-know-about-starbucks-10-years-in-india/

 

Top 10 Things to Know about Starbucks 10 Years in India : Starbucks Stories Asia

Check out the most exciting highlights from ten years of Starbucks in India.

stories.starbucks.com

 

넷째 배당주로 서의 가치

스타벅스는 향후 배당 귀족주 (25년 연속 인상) 반열에 들어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배당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만약 2010년 약 11$ 당시의 스타벅스에 $110 (약 150만 원)을 투자하였다면

주가는 약 10배로 1,500만 원 1년 배당금은  약 39만 원 (원금의 약 30%_즉 30% 이자) 가됩니다 ㅎㅎ

향후 배당 귀족주가 된다면 그만큼 배당주로서의 매력도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섯째 스타벅스 매출 분석
코카콜라의 오마쥬! 경기침체에 강한 필수 소비재 개념 & 별도 설비투자가 필요 없다는 장점

마지막 수치 분석입니다.

스타벅스의 가장 큰 매력은 코카콜라와 같이 경기침체에 강하며 별도의 설비투자등 시설 투자비용이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브랜드 가치 하나로 승승장구 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실제 스타벅스 IR공시 자료

작년 3Q 실적 보고서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s22.q4cdn.com/869488222/files/doc_financials/2022/q4/Q4-FY22-Earnings-Release-Final-11.3.2022.pdf

 

총매출 대비 운영비용의 비율을 보면 

가장 큰 값인 매장운영비 (42%) + 제품원가 (32%)와 기타 비용

제외 시 14% 라는 우수한 영업이익이 나옵니다.

최근 스타벅스에서 무인매장을 늘리려는 시도와 왜 드라이브 스루를 늘리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스타벅스와 아마존의 만남, 무인 스타벅스 매장 오픈

스타벅스 무인매장 등장 미국 뉴욕에 새로운 콘셉트의 스타벅스 매장이 오픈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무인 식료품점인 ‘아마존 고(Amazon Go)’ 기술이 접목된 스타벅스 픽업 전용 매장입니다. 지

remembertitan-it.tistory.com

 

또한 스타벅스는 천조국 미국 주식답게

국내 주식에서 흔치 않은 주주 친화적인 기업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22년도 주주환원에 얼마의 비용을 사용했는지 보여줍니다.

영업이익보다 약 1.3배의 비용을 주주환원 (자사주 매입 + 배당)에 사용하였는데요,

출처 : https://s22.q4cdn.com/869488222/files/doc_financials/2022/q4/Q4-FY22-Earnings-Release-Final-11.3.2022.pdf

 

통상적으로 앞선 포스팅에서 기업분석 필수 수치로 말씀드렸던

기업의 ROE(순수 자기 자본 대비 수익), ROA(총 자산 대비 수익) 분석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22년 3Q 기준 스타벅스의 ROE, ROA는 각각 -38% / +12%입니다.

ROE가 마이너스(-) 나왔다는 건 부채를 제외한 회사 자산이 마이너스가 되었단 건데요

위에 보이는 자사주 매입 영향이라는 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당연히 덕분에 주가가 방어됐으니 긍정적인 효과로 해석하면 됩니다.

 

덕분에 아래 이미지처럼 22년 극심한 하락장에도 최근 주가를 회복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원두 가격 하락 영향도 있습니다..^^)

 

여기까지!

제가 생각하는 최고의 성장주의자 배당주중 하나인

스타벅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